콘텐츠로 건너뛰기

누가복음(2), 예수님의 치유 사건이 전하는 진짜 메시지: 죄 사함

누가복음(2), 예수님의 치유 사건이 전하는 진짜 메시지: 죄 사함

누가복음 5:12~26

치유

병 고침의 궁극적인 목적

예수님은 공생애 동안 가르치시고, 고치시고, 전파하셨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일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이 누구이신지를 드러내는 것이었습니다.
병이 나았어도 예수님을 알지 못한다면, 그 치유는 일시적 유익에 불과합니다.
오늘 본문은 병 고침을 통해 예수님이 구원자이심을 드러내는 내용을 보여줍니다.



나병환자를 치유하시다

나병의 의미

12–16절은 나병환자를 고치신 사건입니다.
팔레스타인은 나병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었고, 실제로 나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복음서가 나병 치유 사건을 특히 강조하는 이유는, 나병이 타락한 인간의 영적 실체를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나병은 감각을 마비시켜 몸이 서서히 썩어가게 만드는 병입니다. 죄에 물든 인간 역시 영적으로 마비되어, 고통과 멸망을 인식하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그래서 구약 율법에서도 나병환자를 부정한 자로 규정하며, 자세히 다룹니다. 이는 육신의 병을 넘어 영적 질병 상태를 드러내는 상징이었습니다.



손을 내미신 예수님

13절을 보면, 예수님은 나병환자에게 손을 내밀어 대시고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십니다.
당시 아무도 나병환자에게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율법으로도 금지된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율법을 초월한 사랑으로 그를 만지시고, 말씀으로 치유하셨습니다.

14절에서는 제사장에게 몸을 보이라고 명하십니다. 이는 율법에 따라 나음을 증명하고 사회로 복귀하게 하신 것입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육체 치유가 아니라, 죄로 병든 인간이 주님의 사랑으로 깨끗함을 얻는 영적 회복을 보여줍니다.



사람의 인정이 아닌 하나님의 뜻

15–16절에서 예수님의 치유 소문이 퍼지자 사람들이 몰려듭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을 피해 한적한 곳에서 기도하셨습니다.
이는 예수님이 사람들의 기대나 열광에 휘둘리지 않고, 하나님의 뜻에 집중하셨음을 보여줍니다.
예수님이 오신 목적은 단순히 병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죄를 사하고 영혼을 구원하기 위함입니다.



중풍병자를 고치시다

17–19절에서는 중풍병자 치유 사건이 이어집니다.
움직일 수 없는 중풍병자를 그의 친구들이 지붕을 뜯고 침상째 예수님 앞으로 내립니다.
지붕을 뜯는 일은 당시 구조상 가능했던 행동이었고, 그들의 간절함과 믿음을 보여줍니다.



죄 사함을 선포하시다

예수님은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20절)

병을 고쳐달라는 요청에 예수님은 먼저 죄 사함을 선포하십니다.
이를 들은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이 사람이 신성모독을 한다”고 마음속으로 판단했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생각을 아시고 이렇게 물으십니다.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이 어느 것이 쉽겠느냐”(23절)

죄 사함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말로는 쉽습니다. 그러나 ‘일어나 걸어가라’는 즉시 능력이 드러나야 합니다.



죄 사함의 권세를 증명하심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인자가 땅에서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리라”(24절)

그리고 중풍병자에게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셨고, 그는 즉시 일어나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두려워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습니다.

이 사건은 죄 사함의 권세가 예수님께 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입니다. 바리새인들이 말한 것처럼 죄 사함은 하나님께만 속한 권세입니다. 예수님은 중풍병자를 고치심으로 자신이 하나님이심을 드러내셨습니다.



가장 큰 축복, 죄 사함

본문은 나병환자와 중풍병자를 치유하신 사건을 통해 예수님의 신적 권위를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단순한 치유자나 기적 행위자가 아니라, 죄를 사하는 권세를 가지신 하나님이십니다.

주님이 우리에게 주시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병 고침이나 세상적 성공이 아닙니다.
바로 죄 사함입니다.
이 죄 사함이야말로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축복입니다.


누가복음 5장(1), 베드로-말씀에 의지한 순종과 사명의 시작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