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부터 꽃매미까지 10가지의 외래해충 총정리

외래해충을 알아야한다
요즘 거리를 거닐다 보면 보지 못했던 조금은 특이한 벌레(외래해충)들이 날아다니는것을 발견하곤 합니다.
올해는 유독 러브버그가 기승이었죠. 러브버그가 익충이라고는 하지만 대량으로 너무 많이 발생하고,
먹이사슬에 해당하지 않아 개체수가 줄어들지 않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죠.
이 외래해충들이 어디서 왔는지, 무슨 피해를 주는지, 어떻게 없애야 할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우리나라에 들어온 외국 출신 벌레들(외래해충)을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아래 외래해충 이름을 클릭하면 해충의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러브버그 (Plecia longiforceps)
🔹️어디서 왔을까?
중국, 대만, 일본 근처에서 살던 벌레예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여름에 수십 마리가 한꺼번에 날아다니며 얼굴에 붙고, 옷에 앉고, 창문에 달라붙어서 생활이 불편해요.
🔹️언제 많이 나타나요?
초여름부터 여름까지, 특히 더운 날에 많이 보여요.
🔹️어떻게 없애요?
▪️실내에 들어오지 못하게 방충망 점검
▪️집 밖 조명을 조금만 켜기
▪️붙은 벌레는 물로 닦아내기
2.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어디서 왔을까?
중국에서 왔고, 우리나라엔 2004년 처음 나타났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과일나무에 달라붙어 수액을 빨아먹고, 나무에 끈적한 물(당밀)을 뿌려요.
▪️이 물이 곰팡이처럼 퍼져 나무가 병들고 과일이 못 자라요.
🔹️언제 많이 보여요?
▪️봄(5~6월): 아기 벌레(약충)
▪️여름가을(7-10월): 어른 벌레(성충)
🔹️어떻게 없애요?
▪️겨울~봄: 나무껍질에 붙은 알 긁어내기
▪️봄~여름: 나무에 끈끈이 테이프 감기
▪️가을 전: 꽃매미가 좋아하는 가죽나무 잘라내기
3. 미국선녀벌레 (Metcalfa pruinosa)
🔹️어디서 왔을까?
미국에서 건너왔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과일나무, 꽃나무, 심지어 도시에 심은 나무까지 다 덮쳐요.
▪️벌레가 수액을 빨아먹고, 하얀 가루나 끈적한 액체를 뿌려서 나무가 병들어요.
🔹️언제 많이 나타나요?
▪️봄초여름(5월): 아기 벌레
▪️여름~가을: 성충으로 날아다님
🔹️어떻게 없애요?
▪️봄: 아기 벌레일 때 물뿌리개나 고압수로 뿌려서 떨어뜨리기
▪️겨울: 알이 붙은 가지 잘라서 태우기
▪️필요할 땐 살충제 사용
4.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어디서 왔을까?
▪️동남아시아에서 왔어요.
▪️2003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됐고 지금은 전국에 퍼졌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꿀벌을 잡아먹어요.
▪️꿀벌이 없어지면 과일 수분도 안 되고 양봉업자들이 큰 피해를 입어요.
▪️또 사람도 쏘기 때문에 야외에서 사고도 생겨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봄(4~6월): 여왕벌 혼자 움직일 때
▪️여름~가을: 벌집이 커지고 공격성이 강해짐
🔹️어떻게 없애요?
▪️봄에는 트랩으로 여왕벌을 잡으면 효과 좋아요
▪️여름엔 벌집을 제거, 하지만 위험하니 전문가에게 맡기기!
▪️야외활동 시 음식, 향수 조심하고 검은색 옷 피하기
5. 갈색날개매미충 (Ricania shantungensis)
🔹️어디서 왔을까?
중국에서 왔고, 2009년 충남 공주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나무 가지 속에 알을 낳고 가지가 죽거나 열매가 덜 자라요.
▪️잎에 끈적한 진을 뿌려 곰팡이(그을음병)가 생겨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봄(5~6월): 아기 벌레 나옴
▪️여름가을(7-10월): 성충 활동
🔹️어떻게 없애요?
▪️겨울~봄엔 가지를 잘라서 알 제거
▪️여름엔 나무에 노란색 끈끈이 트랩 붙이기
▪️필요한 경우 농약도 사용 가능해요
6.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어디서 왔을까?
▪️세계 여러 나라에 있지만 특히 더운 나라에 많아요.
▪️우리나라엔 1998년부터 나타났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토마토, 고추, 오이 등 농작물을 빨아먹고
▪️바이러스도 옮겨서 작물이 썩고 병들어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비닐하우스 안에서 1년 내내 생겨요.
🔹️어떻게 없애요?
▪️비닐하우스 문에 방충망 설치
▪️노란색 끈끈이판 붙여서 유인
▪️천적 벌레(기생봉)도 활용
▪️약은 한 가지 말고 돌아가며 사용해야 내성 생기지 않아요
7.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어디서 왔을까?
북미(미국·캐나다)에서 왔고, 1993년부터 우리나라에 있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꽃과 과일에 상처를 내고
▪️과일이 모양이 이상하게 커지거나 색이 얼룩져요.
▪️병(바이러스)도 옮겨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비닐하우스 안에서는 계속 생기고,
▪️특히 따뜻한 봄~여름에 많이 늘어나요.
🔹️어떻게 없애요?
▪️파란색·노란색 끈끈이판 설치
▪️환기구나 문에 방충망 설치
▪️천적 벌레(포식성 응애) 풀어주기
▪️약은 내성 생기지 않게 종류를 번갈아가며 사용해요
8. 버즘나무방패벌레 (Corythucha ciliata)
🔹️어디서 왔을까?
미국에서 왔고, 1995년 청주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주로 플라타너스(버즘나무)에 살아요.
▪️잎 뒷면을 빨아먹어 잎이 하얗게 되고 일찍 떨어져요.
▪️도시 미관을 해치고 나무도 약해져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장마 끝나고 7~9월에 피해가 심해요.
🔹️어떻게 없애요?
▪️잎 뒷면을 잘 관찰해서 고압수나 오일로 씻어내기
▪️수가 많을 땐 전문 업체 방제 필요
9.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어디서 왔을까?
미국에서 왔고, 1958년 서울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잎에 하얀 거미줄 같은 그물을 치고
▪️그 안에서 수십 마리 애벌레가 잎을 다 갉아먹어요.
▪️나무가 앙상해지고 보기 싫은 모습이 돼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6~9월, 한 해에 두 번 피해가 생겨요.
🔹️어떻게 없애요?
▪️그물채로 잘라서 태우기
▪️사다리나 긴 막대 이용, 손 닿지 않는 곳은 전문 방제 필요
10. 붉은불개미 (Solenopsis invicta)
🔹️어디서 왔을까?
남미(브라질)에서 왔고, 2017년 부산항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어떤 피해가 있어요?
▪️사람을 세게 물어요.
▪️붉은불개미는 독침이 있어서 심하면 아나필락시스(쇼크)가 올 수도 있어요.
▪️가축과 자연 생태계에도 큰 위협이 돼요.
🔹️언제 조심해야 해요?
▪️주로 항구, 물류창고, 야외시설물 주변에서 보여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절대 만지지 말고, 발견하면 바로 신고!
▪️농림축산검역본부 (☎ 054-912-0616)
▪️사진만 찍고 절대 건드리지 마세요.
외래해충 빠른 비교 표 (요약)
해충 | 원산지 | 주요 피해 | 국내 발생 피크 | 핵심 방제 포인트 |
---|---|---|---|---|
러브버그(Plecia longiforceps) | 동아시아 | 생활 불편(대량 비행) | 초여름–한여름 | 조명·기류 관리, 물리적 제거 |
꽃매미 | 동아시아 | 흡즙·그을음, 포도·과수 피해 | 5–6월 약충, 7–12월 성충 | 알 긁기, 끈끈이밴드, 숙주 관리 |
미국선녀벌레 | 북미 | 흡즙·밀로·그을음 | 초여름–가을 | 약충기 물리·친환경 방제, 생물적 방제 연구 |
갈색날개매미충 | 중국 | 1년생 가지 고사·그을음 | 5월 약충, 7–11월 성충 | 동절기 가지 전정, 트랩·초기약제 |
등검은말벌 | 동남아 | 꿀벌 포식(양봉 피해) | 4–6월 여왕 | 여왕 트랩, 전국 동시 방제 |
열대거세미나방 | 미주 | 옥수수 등 80+작물 | 6–7월 비래·산란 | 트랩 예찰→유충 초기 살포 |
담배가루이 | 전세계(온난권) | 바이러스 매개 | 연중(시설) | 50메쉬+UV 차단망, 생물적 IPM |
꽃노랑총채벌레 | 북미 | 꽃·과실 피해·바이러스 | 연중(시설) | 트랩, 포식성 응애, 푸시-풀 |
버즘나무방패벌레 | 북미 | 가로수 잎 황백화 | 7–9월 | 잎 뒷면 조기 방제·도시 관리 기준 준수 |
미국흰불나방 | 북미 | 집단 그물망·낙엽 | 여름·초가을(연2회) | 초기 그물망 제거·소각 |
외래해충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Q1. 러브버그는 물거나 독이 있나요?
A. 보고된 바에 따르면 물지 않고 독도 없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며, 문제는 대량 비행에 따른 생활 불편입니다.
Q2. 꽃매미는 언제 무엇부터 해야 하나요?
A. 겨울–초봄엔 알 긁기, 5–6월 약충기엔 트랩·초기약제, 가을 전엔 산란 억제가 기본 순서입니다.
Q3. 미국선녀벌레 ‘끈적이’만으로 충분한가요?
A. 초기 약충기엔 효과가 있지만, 기생봉 등 생물적 방제와 병행하거나 고압수 세척 등과 **통합 관리(IPM)**가 더 안정적입니다.
Q4. 등검은말벌은 왜 봄에 잡으라고 하나요?
A. 여왕벌 단독 활동기(4–6월)에 포획하면 가을 수천 마리 일벌을 사전에 줄이는 효과가 커서입니다.
Q5. 붉은불개미를 보면 직접 처리해도 되나요?
A. 직접 접촉·처리는 금지. 즉시 검역본부(054-912-0616)로 신고하십시오. 항만·컨테이너 등 발견 위치에 따라 절차가 다릅니다.
외래해충관련 더 읽을 거리(주요 출처)
- 러브버그(P. longiforceps): 수도권 발생·종동정·미생물 연구(2024)
- 꽃매미: 국내 확산·생활사·방제 지침 요약
- 미국선녀벌레: 국내 피해·발생·생물적 방제 연구
- 갈색날개매미충: 생활사·피해·트랩 방제 실무
- 등검은말벌: 여왕벌 포획 최적기·전국 동시 방제 권고(농진청)
- 열대거세미나방: 2019 국내 첫 보고·비래·예찰·방제
- 담배가루이/총채벌레: 시설재배 IPM·방충망·생물적 방제 팁
- 버즘나무방패벌레: 국내 발생·생태·도시 피해(산림청/외래생물정보)
- 미국흰불나방: 국내 첫 보고·연 2회 발생·도시 피해 동향
- 붉은불개미: 2017 부산 첫 발견·근절 보고·신고 요령(검역본부)
이런 외래해충들은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농작물에 피해를 줘요.
한두 마리는 괜찮지만, 이런 외래해충들이 대량으로 늘어나면 큰 문제가 되니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게 중요해요.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