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의 유래/장점/6개의 띠순서 알아보기

태권도의 유래/장점/6개의 띠순서 알아보기

대한민국 하면 생각나는 몇가지 대표적인 단어중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이 태권도인것 같다.
태권도의 시작은 언제부터였는지, 태권도만의 장점과 매력이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태권도의 유래

올림픽 무도 스포츠 ‘태권도’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 처음 소개되었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1994년 올림픽 총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확정하면서 2000년 시드니 대회에서 처음으로 메달이 걸린 정식 경기로 치러진 것이다.



태권도의 유래(시작)

태권도는 단순한 무술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과 정신이 담긴 무도이다. 그 뿌리는 삼국시대(약 1,5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고구려의 수박, 신랑의 화랑도 무술, 백제의 무예 등 태권도의 기초가 되었으며 주로 전쟁이나 호국을 위한 무예로 발전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무예도보통지에 기록된 수박, 택견 등이 이어졌고, 20세기 들어 현대적인 무술 체계로 정리되면서 지금의 태권도라는 이름이 1955년에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즉, 태권도는 고대부터 내려온 전통 무예가 현대에 체계화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잡은 것이다.



태권도만의 장점

태권도는 단순한 무술을 넘어, 몸과 마음을 함께 단련하는 종합 수련법이다.

1. 신체 발달

발차기와 회전 동작 덕분에 하체 근력이 발달하고, 유연성과 균형 감각이 크게 향상된다.

2. 정신 수양

예의, 인내, 극기, 백절불굴 등의 정신적 가치를 강조해 자기 절제와 성실함을 기를 수 있다.

3. 호신술

태권도의 기본 기술은 실제 상황에서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실질적 호신술로도 활용된다.

4. 세계적인 스포츠

현재 태권도는 전 세계 200여 개국 이상에서 수련되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한국 대표 무도이다.

5. 자신감과 성취감

(띠) 단계가 하나씩 올라가면서 성취감과 자신을 얻게 되고,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에게도 긍정적인 자기 성장의 기회를 제공한다.



태권도의 띠 순서

태권도의 띠 순서는 수련자의 단계와 성장과정을 상징한다.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한태권도협회(KTA) 및 세계태권도연맹(WT) 기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태권도의 유래


태권도의 띠 순서 (초단 전까지)

1. 🤍 하얀 띠 : 태권도를 처음 시작하는 단계, 순수함과 가능성을 의미

2. 💛노란 띠 : 기본기를 익히는 단계, 씨앗이 땅속에서 싹트는 것을 상징.

3. 💚초록 띠 : 기술이 자라나는 단계. 나무가 상징하는 것을 의미

4. 💙 파란 띠 : 기술과 정신이 하늘로 뻗어가는 단계. 성장과 확장을 의미

5. ❤️ 빨간 띠 : 위험과 경고의 단계. 강한 힘을 가졌지만, 절제와 통제가 필요함을 뜻함.

6. 🖤 검은 띠 : 완성과 성숙을 의미. 태권도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초단 이상부터는 끊임없는 수련을 뜻함.



태권도의 기본 자세

태권도에는 다양한 동작과 품새가 있지만, 그 기초는 기본 자세에 있다. 대표적인 자세를 몇가지 소개한다.

주먹지르기(정권지르기) : 허리의 힘을 이용해 주먹을 곧게 내뻗는 기본 공격 동작.

막기 동작 : 얼굴 막기, 아래 막기, 안막기 등 다양한 방어 기술이 기본기다.

서기 자세

✔️주춤서기 : 안정적인 무게 중심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서기.
✔️앞서기(앞굽이) :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며 무게중심을 두는 서
✔️뒷서기(뒷굽이) : 뒤에 무게를 두어 방어나 반격을 준비하는 서기

발차기 동작

✔️앞차기 : 발끝으로 직선 공격.
✔️돌려차기 : 몸을 비틀어 측면 공격.
✔️옆차기 : 옆 방향으로 강력한 발차기.

위의 같은 기본 자세들이 모여 태권도의 품새와 겨루기의 토대가 된다.



태권도는 단순한 무술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철학이 담긴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기본기에서부터 정신 수양에 이르기까지, 태권도 수련은 우리 몸과 마음을 더 강하고 바르게 만들어 줄 것이다.

세계태권도연맹 사이트 바로가기태권도의 유래, 태권도의 유래, 태권도의 유래

이전글 보러가기